제목 | 눈물흘림의 원인과 치료방법 |
---|---|
조회수 | 3305 |
오늘은 눈물흘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눈물흘림이란 눈물이 정상적인 방법으로 배출되지 않고 눈에 고여 있거나, 눈 바깥으로 시도 때도 없이 흐르는 증상입니다. 안구건조증과는 반대되는 질환인데 눈물이 바깥으로 흘러나와 지속적으로 닦게 되면 피부를 진무르게하며 빨갛게 발적까지 동반합니다. 심해지면 통증과 함께 염증이 생길 수 있으며, 눈물점이나 눈물관이 막혀 급성 누낭염으로 증상이 악화 될 수 있습니다.
눈물흘림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눈물샘에서 만들어지는 눈물은 눈으로 빠져나와 산소 및 영양분을 공습하고 눈물점으로 빠져나가게 됩니다. 이후 눈물점 -> 눈물관 -> 눈물주머니 -> 코눈물관 을 통해 배출됩니다. 하지만 이런 눈물경로에서 한부분이라도 문제가 생기게 되면 안구건조증 및 눈물흘림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눈물흘림은 눈을 지속적으로 자극하는 안검내반,안검외반 과 같은 질환에 의해 눈이 자극을 받아 눈물이 평균보다 많이 생성되어 모두 빠져나가지 못하고 눈 옆으로 흐르게 됩니다. 혹시 반대로 눈물의 생성량은 정상적인데 눈물점이 막힌다거나 배출로중 문제가 생겨 눈물이 원활히 빠져나가지 못할 경우 눈물흘림 증상이 나타날수 있습니다.
흔히 안구건조증과 눈물흘림증 둘 다 눈물이 흐른다는 공통점이 있어 감별진단이 필요하며, 그 정확한 원인요소를 찾아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흔히 감정에 의한 눈물이 흐르는 눈물이라면 눈물흘림증인 경우 눈물이 마치 줄줄 새는 듯하며, 잦은 눈물에 의한 시야흐림을 비롯해 눈 주위가 헐고 짓무르며 부종이 생기고, 충혈과 통증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눈물 과생산 주요 요인 - 안검내반증: 눈꺼풀 테(가장자리)가 안구 쪽으로 말려 속눈썹이 눈을 자극하여 반사적으로 눈물이 흐릅니다. - 안검외반증: 아래 눈꺼풀 테가 안구 바깥쪽으로 말려 안구가 노출되면서 눈물이 코눈물관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거나 또는 안구건조에 의한 상쇄작용에 의해 눈물이 흐릅니다. - 기타 안질환: 홍채염, 녹내장 등
눈물관이 막히는 주요 요인 - 눈물점 폐쇄: 외상, 결막염 등 염증질환 등에 의해 눈물이 빠져나가는 길이 막혀 눈물이 흐릅니다. - 코눈물관(비루관) 폐쇄: 눈의 감염이나 부비동 감염, 안면골절, 비염 등에 의해 코 뒤쪽의 눈물이 빠져나가는 코눈물관이 막혀 눈물이 흐름. 특히 아기의 경우 코눈물관이 덜 발달되어 눈물흘림증이 생길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6개월까지는 저절로 좋아집니다.
눈물흘림 자가진단법 과 치료방법
눈물흘림 자가진단법으로는 생리식염수를 눈에 몇방울 넣어 눈바깥으로 흐르면 눈물흘림이 의심됩니다. 그래도 가까운 안과병원에 가셔서 정확히 진단받는 것이 좋겠죠? 다음 그림은 눈물흘림 진단에 필요한 검사들을 정리해 놓은 사진입니다. 참고하세요
치료방법 눈물흘림의 원인에 따라 달라지는데
눈물점이나 눈물관이 막힌경우라면, 방사선 사진 촬영 등 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과 부위를 확인하고, 간단히 표현하면 막힌 길을 뚫어주거나 좁은 길을 넓혀주는 시술이 필요합니다. 즉 막힌 눈물관을 뚫고 눈물길에 실리콘관을 삽입(실리콘튜브삽입술)하여 눈물길을 넓혀주거나 완전히 막힌 경우 코눈물주머니 연결술(누낭비강 문합술)로 새로운 눈물길을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튜브시술로 안되면 코눈물주머니 연결술을 시행하는 편이며, 과거와 달리 내시경적 시술을 통해 피부절개 없이 국소마취로 시행하기 때문에 흉터도 없고, 회복시간이 단축되었고, 치료효과도 80~90%로 좋은 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