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의약속안과] 안구건조증의 원인과 치료
안녕하세요 봄의약속안과입니다.
오늘은 많은분들이 궁금해하시고 염려하시는 안구 건조증에 대해서 포스팅 해볼까 합니다.
요즘 바쁜 도시생활을 하는 현대인들은 잦은 컴퓨터 업무와 미세먼지, 그리고 스마트 폰 과다사용으로 인해 쉽게 피로해지고 건조해지는 눈상태를 가지고 있는데요.
당신의 눈도 예외일수는 없습니다.
미리 미리 관리 하지 않고 소중히 다루지 않는이상! 언제든지 건조증은 당신을 괴롭힐 것입니다.
오늘은 안구건조증에 대해서 파헤쳐 보고! 건조증을 피하기 위해서 노력해보는 시간을 가져볼까요?
안구건조증(건성안)
안구건조증은 일반적으로 눈물의 수성층의 부족 또는 눈물막의 비정상적인 빠른 증발로 발생합니다. 눈물은 크게 항상 일정량 분비되어 윤활작용을 하는 기저 눈물과 자극에 의하여 분비되는 반사 눈물로 나뉘는데, 눈물의 수성층이 부족한 환자들은 눈에 윤활작용을 해주는 기저 눈물의 부족으로 인한 자극으로 오히려 눈물을 흘리면서(반사 눈물) 안구건조증을 호소할 수도 있습니다. 증발로 인한 안구건조증은 대개 눈꺼풀테의 이상이나 눈꺼풀의 염증과 관련하여 눈물막이 불안정하여 발생합니다.

1. 원인
건성안 증후군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직업이나 전신약물치료, 눈꺼풀과 관련된 해부학적 관련사항 요인에 의하여 악화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안구건조증 유발 요인으로는 콘택트렌즈 착용, 알레르기, 독서, 영화감상, 환경의 변화, 컴퓨터나 현미경 사용, 라식수술, 미용수술, 눈깜박임 이상 등이며 항히스타민, 항경련제, 항정신병제와 같은 약물에 의해서도 발생합니다. 이외에도 쇼그렌증후군과 같은 류마티스 질환과도 연관이 될 수 있고 스티븐스 존슨 증후군과 같은 원발성 염증질환으로 인한 결과일 수도 있습니다.
2. 증상
증상은 건성안으로 인한 눈충혈보다 자극감, 거칠거칠함, 이물감, 시야흐림, 눈이 피로함, 때때로 가려움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으며 점차 질환이 진행됨에 따라 눈부심과 눈꺼풀떨림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좀 더 질환이 악화되면 안구표면에 각질화가 나타나고 궤양, 혈관생성이 생기고 각막흉터가 남게 되어 심각한 시력 상실 또는 시야 손상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안과검진을 통해 볼 수 있는 건성안의 일반적인 임상 징후로는 눈충혈, 낮은 눈물막, 눈물막찌꺼기, 빠른 눈물막파괴시간, 섬유실 모양의 점액 분비물, 안구표면손상으로 각막 또는 결막 염색, 비정상적으로 상승된 눈물의 삼투압 등이 있습니다.
3. 치료
건성안 치료의 목적은 환자의 증상을 완화하여 삶의 질을 높이고 건성안으로 인한 여러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우선은 건성안을 악화시키는 상황이나 인자(흡연, 먼지, 바람, 건조한 실내)들을 피하고 증상의 정도에 따라 인공눈물을 사용하거나 원인 질환을 치료하고 눈물막의 보존을 위해 누점플러그를 이용한 누점폐쇄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염증성 질환과 관련이 있는 환자에서 싸이클로스포린 A 안약을 3개월 이상 장기간 사용하여 눈물생성촉진에 효과적으로 도움 받을 수 있습니다. 눈꺼풀의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수술적인 치료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자 어떠신가요?
너무 설명이 복잡하진 않았나요?
간단하게 짚어드리자면
눈을 과도하게 사용하시는것은 금물, 충분히 쉬어주고 숙면을 취해줄것, 건조하다면 눈물약을 자주 넣어줄것~ 입니다.
만약 건조증으로 고생하고 있다면
지금 바로 봄의약속안과를 찾아주세요!
더 궁금하신 부분은 전화상이나 인터넷 상담을 통해주시면 친절하고 정확하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http://www.vnp.kr/n_consult/edt_consult_list.asp?consult_cls=guest
봄의약속안과,안구건조증,눈건조함,눈건조,건조함,눈뻑뻑,눈침침,눈에뭐가낀느낌,강동구안과,명일동안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