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의약속안과]간지러워도 비비지 마세요! 알레르기성 결막염 (굽은다리안과, 강동구 안과) 봄에 심해지는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중국에서 불어오는 황사바람과 미세먼지 꽃가루 등의 작은 입자들이 눈의 점막을 자극해 일어나는 안질환입니다. 알레르기 결막염의 주요증상은 눈이나 눈꺼풀의 가려움증, 결막의 충혈, 눈의 화끈거림을 동반한 통증, 눈부심, 눈물흘림 등과 같은 증상을 보이고 결막이나 눈꺼풀이 부어오르는 증상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눈꼽보다는 끈적끈적하고 투명한 분비물이 동반되는 것이 보통이며 눈꺼풀을 뒤집어보면 자갈을 깔은 듯 돌기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알레르기성 결막염 예방방법>
-
- 무엇보다도 원인이 되는 알레르기 유발 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도록 하는 것이 예방의 기본입니다. 따라서 알레르기 유발물질 중에서도 특히 동물의 비듬이나 먼지, 집먼지진드기 등이 대표적이므로 침대에 비닐커버를 씌우고, 양탄자는 치우고, 침구를 자주 햇볕에 말리고 털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집안에 애완동물을 두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공기로 매개되는 꽃가루가 원인인 경우에는 꽃가루가 날리는 계절에는 되도록 외출을 삼가고, 가능한 한 창문은 닫아놓으며, 외출 후에는 샤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손은 깨끗이 자주 씻고, 눈은 되도록 만지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집안의 습도는 되도록 50% 이하로 유지하고, 살균, 표백제를 사용하여 집안에 곰팡이 성장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알레르기성 결막염 생활 가이드>
-
- 1) 알레르기 결막염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은 가려움증으로, 환자들은 눈을 자주 비비게 됩니다. 눈을 비비게 되면 일시적으로 가려움증이 해소되는 듯하나 도리어 증상이 심해지고, 이차적으로 심한 부종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합니다. 뿐만 아니라 눈을 문지르게 되면 알레르기 항원이 손에서 눈으로 직접 전달되어 결막염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대신 가려움증이 심한 경우에는 냉장고의 얼음을 얇은 수건에 싸서 눈에 냉찜질을 하거나 찬물로 눈 주위를 씻어주면 증상이 호전될 수 있습니다. 외출 중에 증상이 발생하여 얼음을 구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근처 편의점에서 아이스캔을 사서 같은 방법으로 냉찜질을 해주면 도움이 됩니다.
2) 충혈부종 때문에 약국에서 안대를 사서 착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안대를 자주 갈아주지 않을 경우 안대 안쪽 면의 거즈가 눈물 및 분비물에 오염이 되어 2차적인 세균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되도록 안대를 착용하지 않는 것이 좋으나, 안대를 착용해야만 하는 경우에는 자주 안대를 바꾸어 주어야 합니다. 3) 민간요법으로 소금물로 눈을 씻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방법은 증상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차적인 결막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하지 말아야 합니다. 4) 알레르기 비염 등의 알레르기성 호흡기 질환이 같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에는 담배를 피하는게 좋습니다. 5) 항히스타민제를 먹는 약으로 복용하고 있는 경우에 술을 마시게 되면 항히스타민제의 중추신경 억제 효과를 증폭시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음주는 피해야 합니다. - 6) 알레르기 결막염은 전염성 질환은 아니므로, 수영장을 이용하는데 특별한 제한을 두지는 않지만 수영장 물속의 소독제 성분이 눈에 들어가면 알레르기 결막염의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물안경을 반드시 착용하여 눈에 직접적으로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최대한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알레르기성 결막염 식이요법>
-
- 특정 식품만이 알레르기 유발 원인 물질이 될 수도 있지만, 어떤 물질에 과민 반응을 보였던 사람은 또 다른 물질에도 과민 반응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식이요법이 알레르기 결막염의 치료 및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무엇보다도 규칙적이고 균형된 식생활 및 충분한 수분의 섭취가 기본적으로 필요합니다. - 비타민과 미네랄을 충분히 보충해 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이를 위해 야채나 과일 주스를 자주 섭취하거나, 야채나 해조류 반찬을 많이 먹거나, 종합 비타민제제를 꾸준히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가공식품에 함유된 발색제, 보존제 등의 식품첨가물이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가공식품은 섭취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쇠고기, 귤, 바나나, 콜라, 옥수수, 달걀 흰자위, 발효치즈, 생선, 조개, 우유, 땅콩, 딸기, 토마토, 흰 밀가루가 알레르기를 유발하기 쉬우므로 알레르기 환자는 각별히 조심해야 합니다. 특히 우유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이 많이 있으므로 아이들은 우유 대신 두유를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 해산물 중에는 낙지, 게, 새우 등은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는 음식이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기름에 볶거나 튀긴 음식(치킨, 라면, 과자 등)은 유리기(활성산소)를 발생시켜 염증 상태를 만들기 쉬우므로 되도록 섭취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 섬유질은 알레르기의 원인이 되는 금속이나 독성 물질 제거에 도움이 되므로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http://www.vnp.kr/n_consult/edt_consult_list.asp?consult_cls=guest 각막염,알레드기,눈가려움,눈비빔,봄의약속안과,라식,굽은다리안과,명일동안과,길동안과,결막염
|